우리 기특한 ChatGTP의 도움을 받아서 써봅니다.
- 도움이라기 보다는 그냥 베끼기 ㅎㅎ
질문> x-window 사용시 vim-gtk에서 한글 보이게 하는 방법
vim-gtk에서 한글을 제대로 표시하려면, 몇 가지 설정이 필요합니다. 주로 X 윈도우 환경에서 한글을 제대로 표시하기 위한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1. 한글 폰트 설정
먼저, 한글 폰트를 설치하고 X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합니다. vim-gtk는 GTK 기반이므로, 한글을 제대로 표시하려면 GTK에서 한글을 지원하는 폰트가 필요합니다.
폰트 설치
리눅스 배포판에 따라 한글 폰트를 설치합니다. 예를 들어, Ubuntu에서는 아래 명령어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.
2. X 윈도우 환경에서 로케일 설정
vim-gtk가 한글을 제대로 표시하려면 시스템의 로케일 설정도 한글을 지원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.
그리고 세션을 다시 시작하거나 로그아웃 후 로그인하여 로케일 설정을 반영합니다.
3. vim 설정 파일 (~/.vimrc) 수정
vim에서 한글을 제대로 표시하려면 vimrc 파일에서 인코딩을 설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. ~/.vimrc 파일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추가합니다.
이 설정은 vim이 UTF-8, EUC-KR, CP949 인코딩을 지원하도록 합니다.
4. vim-gtk 실행
이제 vim-gtk을 실행할 때 한글이 제대로 표시되는지 확인해 보세요. 예를 들어, 터미널에서 한글이 포함된 파일을 열어보거나 한글을 입력해 보세요.
5. Xterm, Terminator, gnome-terminal 등의 터미널에서 한글 지원 확인
터미널에서도 한글이 잘 보이도록 설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. xterm을 사용하는 경우 xterm에서 한글을 제대로 표시하려면 터미널의 폰트를 한글을 지원하는 폰트로 변경하는 것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gnome-terminal을 사용할 경우 설정에서 한글을 지원하는 폰트(Nanum, Noto 등)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위의 설정들을 순서대로 적용하면 vim-gtk에서 한글을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진행 : ubuntu 20.04.6 LTS (Focal Fossa)
apt install fonts-nanum fonts-noto -y
locale-gen ko_KR.UTF-8
update-locale LANG=ko_KR.UTF-8
진행 2 : ~/.vimrc
set enc=utf-8
set fenc=utf-8
set fileencodings=utf-8,euc-kr,default,latin1,ucs-bom
잘 되네요~~~ ㅎㅎ
![](https://t1.daumcdn.net/keditor/emoticon/friends1/large/003.gif)
ChatGTP는 사랑입니다.
'프로...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df -> Text 변환 및 비교 (0) | 2025.01.21 |
---|---|
ubuntu 18 신규 설치 (0) | 2023.12.22 |
MySQL 몰아보기 (0) | 2021.06.15 |
[Util-Script] mytop (0) | 2019.10.18 |
[Threads] 속성 및 내용 정리 (0) | 2019.09.19 |